Jit_Log

[Windows] 메모리 점유율 이상 본문

IT 공부/Windows

[Windows] 메모리 점유율 이상

준발이오 2024. 11. 20. 16:16

들어가기 전

어느 날, 사내 윈도우 PC가 갑자기 느려졌습니다. 마우스는 버벅이고, 키보드 입력은 1~3초 딜레이되면서 프로그램도 꺼지지 않더라구요. 확인해보니 아래 이미지 처럼  비정상적으로 메모리 점유율이 90%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. 켜놓은 프로그램이라고는 VSCode 뿐인데 말이죠.. 아무리 재부팅을하고, 시스템을 껐다켜도 90% 이하로 떨어지질 않았습니다.

그러나 다행히(?)도 윈도우에 고질적인 문제인 것 같더라구요. 서칭을 해보니 저와 같은 케이스가 많이 보였고, 겨우겨우 해결을 할 수 있었습니다. 

 

 

이번 글은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위 문제를 해결하게 된 과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.

 

로컬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.

환경
HostOS: Windows 11 Home

해결방법

위 오류의 원인은 Microsoft 사에서도 너무 다양하다고 합니다.

Microsoft 커뮤니티에서 스크랩 해왔습니다.

 

적혀있는 문제점을 하나하나 파악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지만 빠르게 해결하고, 업무를 해야하기 때문에 ㅠㅠ.. 포스팅되어 있는 해결 방법 중 가장 많이 보이는 방법으로 시도 해보았습니다.

 

Windows Network Data Usage Monitoring Driver(NDU)  종료하기 

메모리 세부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, Windows 8 때부터 있던 네트워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. 그런데 이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을 오래 켜놓거나 대용량 네트워크 작업 시 간혹 메모리 누수 현상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.

 

원인은 어느정도 파악이 되었으니 해결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먼저, 윈도우키 +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regedit을 입력해 레스트리 편집창을 실행합니다.

 

 

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HKEY_LOCAL_MACHINE\SYSTEM\ControlSet001\Services\Ndu 다음의 경로로 이동합니다.

 

Start 값을 더블클릭한 후  값 데이터를 2 → 4로 변경합니다.

 

ClearPageFileAtShutdown 설정 변경하기

컴퓨터를 종료하면서 가상 메모리 페이지 파일을 비울 수 있도록 설정 값을 변경해주는 방법입니다. 마찬가지로 레지스트리 편집창에서 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\Memory Management 다음의 경로를 입력합니다.

 

ClearPageFileAtShutdown 값을 더블클릭한 후 데이터를 0 → 1로 변경합니다.

 

두 가지 레지값을 변경해준 후 컴퓨터 재부팅을 하면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돌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참고사이트

 

메모리 누수 문제 해결 방법 Network Data Usage Monitoring Driver > 팁 강좌 | 쿨엔조이

Windows 8 때부터 있던 현상인데 Torrent를 오래 켜놓거나 대용량 네트워크 작업시 간혹 메모리 누수 현상으로 아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비페이징 풀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사용 가능 메모리가

coolenjoy.net

 

 

 

리디렉션 중

 

login.microsoftonline.com

 

'IT 공부 >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indows] 윈도우에서 Wget 다루기  (0) 2024.08.09